<실습> 아래 토폴로지를 보고 브릿지와 컨테이너를 구성해보자.
먼저, create 명령어로 frontnet과 backnet을 생성해주었고, 목록을 조회해보면 네트워크가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inspect 명령어로 조회해보면 frontnet의 대역은 172.20으로, backnet의 대역은 172.21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route 명령어로 조회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.
frontnet 네트워크에는 front-con이라는 컨테이너를, backnet 네트워크에는 back-con과 db-con이라는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해주었다.
각 컨테이너들의 bash 창에서 ifconfig를 조회해보면 위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front-con 컨테이너는 frontnet의 172.20 대역을 사용하고 있고, back-con과 db-con 컨테이너는 backnet의 172.21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또한, 네트워크 자체에 inspect 명령어를 수행해봐도 위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front-con 컨테이너를 backnet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connect 명령어를 사용하여 연결해주었고,
front-con 컨테이너에서 ip를 조회해보면 위와 같이 backnet의 172.21 대역이 잘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front-con 컨테이너는 backnet 네트워크에 연결이 된 상태이기 때문에 backnet의 컨테이너인 back-con과 db-con에 ping을 수행해보면 잘 통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또한, 연결된 엔드포인트를 모두 해제해준 후 disconnect 명령어로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할 수 있고, 컨테이너가 모두 종료된 상태에서 rm 명령어로 네트워크 자체를 삭제할 수 있다.
'네트워크캠퍼스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컨테이너 프록시 (0) | 2024.02.08 |
---|---|
도커 DNS (0) | 2024.02.08 |
도커 사용자 정의 네트워크 구성 (0) | 2024.02.06 |
도커 네트워크 (0) | 2024.02.05 |
아틸러리를 활용한 스트레스 테스트 (0) | 2024.02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