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깃의 구조

1) 버전관리의 필요성

→ 한 파일의 시간대별로 수정 이력을 남겨 최신버전 구분 가능

- 원하는 버전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

- 언제 어떻게 저장되었는지 파일 관리 가능

 

2) 깃 시작

- .git이라는 폴더를 관리 대상 폴더에 만들어 내역 저장

- CLI 환경에서는 해당 폴더에서 git init 명령어 수행

- sourcetree GUI 환경에서는 상단 메뉴바의 create 탭 이용

 

3) 깃/깃허브의 논리적 저장 구조

① LOCAL → 본인 PC를 의미

- Workng Directory : 실제 PC에서 git으로 관리하는 대상 폴더

- Staging Area : 스냅샷 대기

- Repository : 스냅샷 저장

② REMOTE → 깃의 내역을 저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(깃허브)

 

4) 스냅샷

→  해당 구간의 모든 파일을 저장

- 어떤 버전으로 이동하더라도 바로 이동 가능

- 저장공간의 효율성에서 우월

 

2. 소스트리를 활용한 깃

1) repository 생성

 

2) 첫 번째 버전 생성 + 스냅샷 정보 시각화

 

.git이라는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

위에서 생성한 폴더에 gittest.txt라는 파일 생성

 

깃에 돌아오면 위와 같이 스테이지되지 않은 파일에 추가됨

 

☆ 버전관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repository에 스냅샷이 직혀 있어야 함

스냅샷을 촬영하고 싶다면 반드시 스테이지에 올라가 있어야 하고, 스테이지에 올렸지만 마음에 안 들면 다시 내려올 수 있음

 

 

커밋메시지 저장 후 커밋

 

3) 두 번째 버전 생성 + 스냅샷 시각화

 

 

파일 내용 변경 후 돌아오면 위와 같이 변경사항 확인 가능 -> 다시 스냅샷 촬영해야 함

 

 

수행 결과에 의해 두 개의 버전 확인 가능

 

4) 세 번째 버전 생성 + 스냅샷 시각화

 

gitsub.txt 새로운 파일 생성

 

 

위와 같이 스테이지에 올리고 커밋

 

두 번째 버전도 저장소에 등록되고 스테이지에 있던 파일은 소멸됨

 

5) 체크아웃 : 버전 되돌리기

 

원하는 버전을 더블클릭하여 되돌릴 수 있음

 

 

HEAD라는 태그가 선택한 버전에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음

 

 

해당 폴더를 확인해보면 스냅샷 방식이므로 gitsub.txt는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음

'네트워크캠퍼스 > GIT,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클론  (0) 2024.01.11
로컬 저장소 내역 깃허브 업로드  (0) 2024.01.10
병합  (0) 2024.01.05
브랜치  (0) 2024.01.04
커맨드라인을 활용한 깃  (0) 2024.01.03

+ Recent posts